라벨이 건강&질병 뉴스인 게시물 표시

[건강 News] 사람은 원래 초식 동물이었다?

이미지
사람은 원래 초식 동물이었다? 사람의 조상인 호모사피엔스는 채식 동물이였고, 육식을 하지 않았습니다. 700만 년이 지나면서 최종적으로 살아남게 된 현 인류의 조상 호모사피엔스는 채식 동물의 위장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육류를 함께 섭취하며 잡식을 하게 된 것은 불과 1만 년 전부터 였으니, 육류를 섭취한 지 얼마 안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류가 새로운 질병에 걸리게 된 것도 채식의 위장 구조를 가졌는데, 육식을 시작하면서 나타나게 된 것입니다. 1만 년 전 농경 생활이 시작되고, 수백 년 전 산업혁명을 거치며 육류를 섭취하게 되었고, 그러한 잡식의 비중이 늘어나며 화학 첨가제와 가공식품을 먹으며 새롭고 다양한 질병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물론, 육식을 한 인류들도 있습니다. 호모에렉투스는 육식만 했는데, 이러한 육식을 위해 대형 동물들만 사냥하다가 결국 끝까지 생존하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네안데르탈인 역시 30만 년 전 유럽 지역에 정착했지만, 육식 위주를 하였고 그들은 평균 수명을 30세 이상 넘기지 못하였습니다. 결국은 현 인류에 의해 멸종되어 생존에 실패하였고, 지금의 현 인류의 조상인 호모사피엔스만이 살아남게 되었습니다. 농경 생활이 시작되면서 인류는 더욱 많은 질병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채식 위주가 아닌 쌀, 보리, 밀, 옥수수 등 작물들을 재배하여 먹기 시작했고, 동물을 가축으로 기르기 시작하며 육식을 과도하게 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인류 사회는 공장화 되었고, 우리는 공장에서 가공된 가공 식품과 화학 첨가제가 들어간 식품들을 먹었고 몸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400만 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채식을 해온 인류가 이러한 육식과 독성이 많은 가공 식품을 먹으며 몸에서 여러가지 새로운 질병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즉 현 인류는 과일과 채소를 섭취해야 몸의 균형을 회복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초식과 육식 동물의 위장 구조의 차이점 육식 동물의 위장은 초식 동물에 비해 훨씬 짧습니다. 독소가

[건강 NEWS]향초, 양키 캔들 논란, 발암 물질 발견!

이미지
향초 논란! 양키 캔들에 발암 물질? 요즘 미세 먼지로 더욱 환기하기 힘들어, 실내 공기를 향기롭게 전환하기 위해 향초, 즉 양키 캔들을 많이 이용하는데요, 이 양키 캔들에서 "발암 물질"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향기로운 실내 공기 정화를 위해 양키 캔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 더욱 관심이 집중될 수 밖에 없는데요, 대중적으로 쓰이는 이 향초에서 어떻게 이런 유해 물질이 발생할까요? 특히 향초, 양키 캔들 하면 천연 아로마 향을 많이 떠올리게 되어, 친환경적이고 천연이라 별 문제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로마 향 같이 천연 향신료가 들어가지만, 천연 향 만으로는 좋은 향을 만드는데 부족합니다. 그래서 인공적인 화학성분이 들어간 합성 향료를 넣게 되는데, 정부는 정확히 이 합성 향료에 어떤 성분들이 알지 못하여, 규제하기 힘듭니다.  또한, 향초를 연소 시켜 향기로운 향이 실내에 퍼지게 됩니다. 이때 향초를 태울때 유해물질이 나온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양키 캔들을 태우게 되면, 초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등의 물질이 나오게 됩니다. 초미세먼지는 1급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고, 향초를 태우게 되면 초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벤젠, 톨루엔, 폼알데하이드 등과 같은 1급 발암 물질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산화질소는 농도가 높아지면, 기관지와 호흡기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줍니다. 또한, 일산화탄소는 우리 몸의 혈액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게 방해하여, 산소 전달이 힘들어지고, 산소가 제대로 전달이 안되면 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양키 캔들 발암 물질 논란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렇듯이, 향초 즉, 양키캔들을 향기로운 실내 공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면, 유해 물질 및 발암 물질이 생겨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인공적인 합성 향료가 들어간 향초를 태우는 것보단, 창문을 열어 자주 환기 시키고, 숯이나 공기 정화 식물을 이용하거나,